정부, 전력망 연계 대규모 'ESS' 구축…배터리 3사 수주전 예상


국내에서 전력계통 제어를 위한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구축 사업이 추진됨에 따라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셀 3사가 수주전에 나설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육지와 제주 지역의 전력계통 부족 및 발전소 출력제어 해소를 위해 540MW 규모 ESS를 도입한다고 22일 밝혔다.
ESS는 재생에너지 전력 생산 등이 많은 시간에 전력 수요를 초과하는 잉여 전력을 저장한 후 수요가 높은 시간에 방전해 전력을 공급, 전력계통의 안정성을 높이고 출력제어를 줄일 수 있는 핵심 설비다.
산업부는 지난 2023년 8월 재생에너지 전력 생산의 급격한 증가로 발전소 출력제어가 발생하는 제주 지역에 65MW 규모 ESS 물량을 도입하기 위한 중앙계약시장 입찰을 진행한 바 있다.

최근에는 전력 수요가 상대적으로 낮은 봄, 가을 중심으로 내륙 지역에서도 전력계통 부족으로 인한 출력제어가 발생함에 따라 ESS 추가 도입을 추진하게 됐다.
산업부는 이번 ESS 중앙계약시장 입찰을 통해 육지와 제주에 각각 500MW, 40MW 규모의 ESS를 도입할 계획이다. 지난 2월 확정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상 ESS 도입 규모를 반영한 것이다. 이에 따라 입찰 금액이 조 단위일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2023년 입찰 대비 이번 입찰은 ▲규모가 65MW에서 540MW로 8배 이상 확대되고 ▲적용 지역도 제주에서 육지까지 확장되며 ▲잉여 전력 충전 가능 시간도 하루 4시간에서 6시간으로 늘어난다. 충전 가능 시간(6시간)을 감안하면 실제 설치되는 ESS 용량은 육지 3천MWh, 제주 240MWh에 달한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배터리셀 3사가 이번 사업 입찰에 도전할 것으로 알려졌다. 3사 모두 최근 ESS 시장에서 각광받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공급을 고려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이번 ESS 도입을 통해 재생에너지의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전력망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재생에너지 발전에 대한 출력제어 빈도도 줄어들 것으로 기대했다.
최종 낙찰자는 가격 요소와 함께 계통 기여도, 안전성 등 비가격 요소를 종합 평가해 7월 중 선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