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에겐 최고 사양·혁신만 제공...그게 다이슨 철학"

News

"소비자에겐 최고 사양·혁신만 제공...그게 다이슨 철학"

[지디넷코리아]

"다이슨은 엄격한 내부 테스트를 수행해 실제 제품 기대 사용기한의 5배까지 견뎌내는지 실험합니다. 전체 과정을 통해서 필요한 것 이상의 그 어떤 비용도 담기지 않게끔 설계하고 있습니다."

윌 커 다이슨 뷰티 제품개발 부문 총괄 부사장은 28일 '에어랩 코안다2x(투엑스) 멀티 스타일러 앤 드라이어' 신제품 공개 행사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같은 제품 개발에 대한 다이슨의 장인 정신을 밝혔다.

커 부사장 15년 동안 다이슨에서 기술을 연구해 온 제품 개발 전문가다. 그는 사회생활 초기에 런던의 한 디자인 컨설팅 회사에 취직했다가, 디자인 측면에서 창의성을 발휘할 요소가 없다는 점에 아쉬움을 느끼고 다이슨에 합류했다. 초기 12년 동안은 청소기 사업 부문에서 일했고, 3년 전 뷰티 조직으로 왔다.

커 부사장은 '간과되기 쉬운 문제를 해결한다'는 다이슨의 브랜드 철학을 소개하며 "언제나 소비자들을 위해 해결할 문제가 없는지 늘 찾고 탐구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품 개발 세 가지 핵심 지표로 시간·사양·비용을 제시했다.

윌 커 다이슨 뷰티 제품개발 부문 총괄 부사장이 28일 인터뷰에서 신제품

그는 "우리는 프로젝트를 가능한 한 최단기간에 수행해 신제품을 소비자에게 선보이려 한다"며 "시장 내에서 최고의 사양과 최고의 혁신을 제공하며, 필요 이상의 그 어떤 비용도 제품에 전가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프리미엄 가격 정책에 대해서는 "다이슨 제품의 가격은 제품에 집약된 핵심 기술을 토대로 산정된다"고 설명했다.

커 부사장은 "새롭게 설계된 모터, 각 스타일링 툴에 탑재된 무선식별(RFID) 칩, 자동으로 온도를 측정하고 조절하는 센서 등은 모두 비용이 소요되는 기술"이라며 "소재 측면에서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튼튼한 소재를 사용한다"고 덧붙였다.

제품 개발 과정에 인공지능(AI)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코드 개발 과정뿐만 아니라 유체 역학 모의실험에도 적용됐다.

그는 "지난주 헤어케어 제품의 공기의 흐름과 열 전달, 온도 등을 이해하기 위해서 유체 역학 시뮬레이션을 실시하는데 머신 러닝을 통해 하룻밤 사이에 300번의 시뮬레이션을 진행할 수가 있었다"며 "제품 개발 과정에서 AI를 활용하며 개발의 속도와 효율성을 크게 제고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윌 커 다이슨 뷰티 제품개발 부문 총괄이 28일 XYZ SEOUL에서

이어 "이외에도 (AI)가능성은 무한하다고 생각한다"며 "언젠가는 소비자가 사용하는 제품에도 AI가 활용되는 시기가 올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이슨이 개발 과정에서 설계-프로토타입-테스트를 반복하며 상품성을 개선하는 과정은 모든 제품군에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었다. 엔지니어들이 다른 제품 카테고리 부문으로 순환 보직을 하면서 서로 영감을 받고 배우기도 한다.

커 부사장은 "진공 청소기는 소비자들이 어떻게 제품을 사용하는지 충분히 예상이 가능한 반면, 뷰티 기기는 예상을 벗어난 사용 사례가 많다"며 "그만큼 소비자 체험이나 테스트가 더 필요하고, 제품을 통해 정서적 가치를 많이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공개된 코안다2x 멀티 스타일러 앤 드라이어는 다이슨 역사상 가장 강력한 하이퍼디미움2 헤어 모터를 새롭게 탑재했다. 기존 에어랩보다 모발을 더 빠르게 건조하며, 컬과 스트레이트까지 하나의 기기로 다양한 스타일링을 연출할 수 있다.

하이퍼디미움2 모터는 풀체인지급 변화라는 게 커 부사장의 설명이다. 슈퍼소닉부터 이전까지의 다이슨의 모든 헤어 케어 기기에는 다이슨의 'V9 디지털 모터(하이퍼디미움 모터)'가 적용됐다.

에어랩 코안다2x 멀티 스타일러 앤 드라이어 (사진=지디넷코리아 신영빈 기자)

커 부사장은 "신제품은 기존 에어랩을 좀 더 개선할 수 있는 방향을 고민하던 중 우리의 핵심 기술인 모터에 근본적인 혁신을 가져온 것"이라며 "하이퍼디미움2 모터는 사실상 제로 베이스에서 새롭게 설계된 변화"라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이어 "하이퍼디미움2 모터는 2배 더 강력해진 바람으로 다양한 스타일링 툴이 제공하는 이점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며 "이처럼 다이슨은 핵심 기술에 지속적으로 투자해, 소비자들이 느끼는 불편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전했다.

커 부사장은 국내 뷰티 시장의 잠재력에 대해서도 거듭 강조했다. 뷰티 디바이스에 대한 국내 소비자들의 관심이 이번 신제품을 한국에서 처음 공개하게 된 배경이 됐다는 설명이다.

그는 "한국 소비자들 가운데 매일 머리를 감는 이들은 전체의 65%로 집계되는데, 이는 글로벌 평균(38%) 대비 훨씬 많다"며 "패스트 드라이어 2x 스타일링 툴을 통해 훨씬 더 빠르게 머리를 건조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시간을 아낄 수 있게 설계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처럼 소비자들의 실질적인 헤어 케어 행태를 조사함으로써 많은 걸 배울 수 있고, 이러한 발견을 제품 개발에 녹이고 있다"면서 "한국의 여러 모발 유형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고 부연했다.

0 Comments
제목
Category
접속자 통계
  • 현재 접속자 33 명
  • 오늘 방문자 831 명
  • 어제 방문자 1,153 명
  • 전체 방문자 262,200 명
  • 전체 게시물 6,105 개
  • 전체 댓글수 674 개
  • 전체 회원수 57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