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링크·원웹 연내 국내 도입..."항공·해상 등 취약지역 통신환경 개선 기대"

News

스타링크·원웹 연내 국내 도입..."항공·해상 등 취약지역 통신환경 개선 기대"

[지디넷코리아]

국내에서도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도입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항공기와 선박 등 이동체의 통신환경이 획기적으로 개선되고, 인터넷 취약 지역 해소와 재난 대응 역량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스페이스X와 원웹의 국내 서비스 도입을 위한 행정 절차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밝혔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국내에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가 도입되면 항공기의 기내 통신환경이 고속 와이파이로 개선되고, 장기 항해 선박의 선원들도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나 영상통화를 이용할 수 있어 선원 복지가 대폭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스페이스X 위성 인터넷 서비스

이어 "기존 인터넷 취약 지역의 통신환경 개선뿐만 아니라 산불 등 재난 상황 대응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스페이스X는 2023년 5월, 원웹은 같은 해 12월 각각 국경 간 공급 협정 승인을 신청했다. 과기정통부는 안정적인 서비스 운용을 위해 위성과 이동체 간 통신에 필요한 주파수(10.712.7㎓, 14.014.5㎓)를 새로 분배하고, 전파법을 개정해 관련 제도 정비를 완료했다.

또한 이동 수단(비행기, 선박, 자동차 등)에 설치하는 지구국 설치를 허용하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인터넷 위성 단말기 허가 절차를 간소화해 이용자가 별도 신고 없이 제품을 구매해 사용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했다.

김남철 과기정통부 전파정책국장은 "단말기 적합성 평가가 완료되면 올해 안으로 서비스 개시가 가능할 것"이라며 "다만 사업자들의 사업계획서 조율에 따라 세부 일정은 변동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과기정통부와 우주항공청은 올해부터 2030년까지 저궤도 위성통신 핵심 기술 자립화를 목표로 본격적인 연구개발(R&D) 사업에 착수했다. 누리호 발사체에 위성통신 탑재체를 올려 위성 2기를 발사할 계획이다.

주관기관으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쏠리드 등이 참여하며, 이 중 ETRI가 총괄기관을 맡아 협력 체계를 운영할 예정이다. 국방 분야에서도 위성통신 기술 개발과 주파수 협의가 함께 추진되고 있다.

유 장관은 "국제표준 기반의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 R&D를 통해 국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민간기업 참여 확대 및 기술 확산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0 Comments
제목
Category
접속자 통계
  • 현재 접속자 56 명
  • 오늘 방문자 483 명
  • 어제 방문자 726 명
  • 전체 방문자 260,699 명
  • 전체 게시물 6,051 개
  • 전체 댓글수 674 개
  • 전체 회원수 57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