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와 노조 또 충돌…'진정성 없는 협상'에 바리스타 분노


스타벅스 노조 대표자들이 회사가 제시한 계약안을 거부했다. 노조 조직위원들은 이번 제안이 연 2% 이상 임금 인상만을 보장할 뿐 다른 핵심 사항들이 부족하다고 주장했다.
2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스타벅스 노조 워커스 유나이티드의 약 500명의 바리스타가 미국 내 550개 이상의 노조 결성 스타벅스 매장을 대표해 회사의 제안에 대해 투표를 진행했으며, 이 중 81%가 계약안을 거부했고 14%는 수락, 나머지는 기권했다고 보도했다.
양측은 현재까지 근무 안전, 복장 규정, 출근 정책 등 수십 가지 사안에 대해 잠정 합의했지만, 노조 측은 이번 제안이 주당 근무 시간 보장이나 의료 혜택 개선, 즉각적인 임금 인상 등을 포함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워커스 유나이티드 소속 노조 대표 미셸 아이젠은 성명에서 노조 바리스타들은 임금과 복지에 대한 투자를 스타벅스에 요구하고 있다며, 이는 여러 방법을 통해 이뤄질 수 있으며, 핵심은 계약에 더 많은 자금을 투입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노조는 임금, 복지, 근무 시간을 전반적으로 개선할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시했지만, 스타벅스가 진정성 있게 협상에 임하려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스타벅스는 이메일 성명을 통해 노조가 불완전한 틀을 대표자들에게 투표에 부쳤고, 이는 우리의 공동 진전을 훼손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스타벅스는 바리스타 평균 시급이 19달러(약 2만7천원) 이상이며, 복지를 포함할 경우 시급 가치가 30달러(약 4만3천원) 가량을 넘는다고 주장했다.
스타벅스는 또한 이번 제안에 포함되지 않은 일부 복지 혜택들은 아직 논의 중이며, 연 2% 임금 인상은 최저 기준일 뿐 더 높은 인상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노조와 스타벅스는 지난해부터 집단교섭 협약의 기본 틀을 마련하기 위해 협상을 진행해 왔다고 외신은 설명했다. 양측은 지난해 2월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했지만 이후 임금 문제로 협상이 결렬됐고, 노조는 다시 파업과 연방 노동위원회에 불공정 협상 관련 고발을 이어가고 있다.
스타벅스와 노조는 올해 1월 중재인 도입에 합의했고, 2월부터 중재 절차가 진행 중이다. 노조에 따르면 이번에 제시된 연 2% 임금 인상 보장은 지난해 12월 스타벅스가 제안한 1.5% 인상안보다 소폭 개선된 수준이다.
노조 대표 재스민 렐리는 성명에서 브라이언 니콜 CEO가 회사를 되살리겠다고 한다면, 1만1000명 이상의 노조 바리스타들과 공정한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