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건강] 작은 용종이 대장암 됩니다


대장암이 용종으로 시작되는 만큼 정기적인 검사를 통한 관리가 요구된다.
대장암은 갑상선암에 이어 국내에서 두 번째로 발생률이 높은 암이다. 보건복지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국내 대장암 발생자는 3만3천158명으로 전체 암 가운데 11.8%를 차지했다. 2023년에는 대장암으로 인한 사망자가 9천348명에 달해 전체 암 사망률의 11%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대장암도 작은 용종에서 시작된다.
용종은 신체 내부에 있는 점막이 증식하여 돌출된 병변이다. 대장은 그 길이가 150센티미터로, 찌꺼기들이 오래 머무르다 보니 물리적, 화학적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점막이 손상됐다가 회복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점막 표면에 용종이 잘 생길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진다.

용종의 유전적인 요인은 20%~30%가량이지만, 잘못된 식습관·신체 활동 부족·비만·음주·흡연 등 생활 습관도 용종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용종이 커져 출혈이 생긴다거나 통증이 생길 수 있지만, 대부분은 특별한 증상이 없다. 이 때문에 조기 발견을 위한 정기적인 대장내시경이 용종을 제때 찾는 방법이다.
예방을 위해서는 식단 관리가 중요하다. 붉은 고기류·햄·소시지·베이컨 등 가공육 섭취를 줄이고, 식이섬유와 칼슘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해야 한다. 흡연은 대장용종과 대장암 발생 위험을 높이므로 반드시 금연해야 한다.
김동우 고려대안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대장용종은 크게 종양성과 비종양성으로 나눌 수 있다”라며 “선종과 같이 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는 종양성 용종은 반드시 제거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과형성 용종과 같은 비종양성도 암으로 진행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져, 악성화 가능성이 낮다고 안심하기는 어렵다”라며 “직장에 있는 조그마한 용종을 제외하고는 가능한 한 모두 제거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대장용종은 100% 예방할 수 없다”라며 “증상이 없더라도 45~50세부터는 분변잠혈검사나 대장내시경 등 대장암 선별 검사를 받아야 한다”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