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통신 뛰어드는 아마존, '프로젝트 카이퍼' 발사 초읽기


아마존이 우주 인터넷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 프로젝트 카이퍼 우주 인터넷 위성 27개의 첫 배치가 다음 주 발사될 예정이다. 아마존은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와 경쟁할 수 있는 위성 군집을 만들기 위해 80개의 발사 임무를 확보했으며, 올해 하반기부터에 고속, 저지연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더버지에 따르면 '카이퍼 아틀라스 1(KA-01)' 발사는 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의 아틀라스 V 로켓을 사용한다. 날씨가 좋다면 오는 9일 오후 12시(미국 동부시간)에 플로리다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될 예정이다. 아마존은 이 프로젝트를 위해 아리안스페이스, 블루 오리진, 그리고 경쟁사인 스페이스X와도 발사 협력 계약을 맺었다.

아마존의 우주 인터넷 서비스는 전 세계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다. 산간 지역이나 외딴 섬과 같이 일반적으로 인터넷 접속이 어려운 곳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사용자들은 위성 군집에 접속하기 위해 단말기 안테나가 필요하다. 아마존은 가장 작은 접시인 7인치 정사각형 디자인으로 무게가 1파운드밖에 나가지 않으며, 최대 100Mbps 속도를 제공해 스타링크 미니의 대안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아마존은 또한 최대 1Gbps 속도를 제공하는 주거용 및 기업용 더 큰 접시를 제공함으로써 스페이스X와 경쟁할 것으로 보인다. 아마존은 단말기를 각 400달러 미만으로 생산할 예정이다.
아마존의 1세대 위성 시스템은 결국 3천200개 이상의 LEO 위성으로 구성될 것이며, 모두 시속 1만7천마일(27359km/h)로 비행하고, 지구 위 392마일(630km)에서 약 90분마다 지구를 한 바퀴 돈다.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위성 군집은 현재 7천개 이상의 LEO 위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 발사는 2019년에 이뤄졌다.
앞서 아마존은 이미 프로젝트 카이퍼 프로토타입 위성 2개를 발사한 바 있다.
라지브 바디알 프로젝트 카이퍼 부사장은 "우리는 이 첫 임무를 준비하기 위해 지상에서 광범위한 테스트를 수행했지만, 비행 중에만 배울 수 있는 것들이 있다"며 "이번이 최종 위성 디자인을 처음 비행하고 한 번에 이렇게 많은 위성을 배치하는 첫 번째 경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임무가 어떻게 전개되든 상관없이, 이것은 우리 여정의 시작일 뿐"이라며 "앞으로 몇 년 동안 계속해서 발사를 준비하면서 배우고 적응할 수 있는 모든 요소를 갖추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