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삼성서울병원·네이버클라우드·히츠, 국내 첫 질병 진단 AI만든다

News

KAIST·삼성서울병원·네이버클라우드·히츠, 국내 첫 질병 진단 AI만든다

[지디넷코리아]

KAIST와 삼성서울병원, 네이버클라우드, (주)히츠가 의료·신약에 특화된 ‘한국형 챗GPT 플랫폼’ 개발에 나선다. 국내선 처음이다.

KAIST는 디지털바이오헬스AI연구센터(센터장 김재철AI대학원 예종철 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AI 최고급 신진연구자 지원사업(AI 스타펠로우십)’에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이 사업은 이달부터 오는 2030년 12월까지 총 115억 원을 들여 질병을 스스로 추론하고 판단하거나 신약을 발굴하는 AI 기술과 플랫폼을 개발한다.

KAIST를 총괄기관으로 삼성서울병원, 네이버클라우드, 히츠가 참여하는 의료용 AI플랫폼 사업이 추진된다. 앞줄 왼쪽부터 KAIST 주재걸, 최윤재, 김우연(히츠), 예종철, 안성수 교수와 네이버클라우드 유한주 박사, KAIST 이윤호 박사, 삼성서울병원  문혜윤, 김수민 박사.(사진=KAIST)

주요 목표는 ▲의료 지식체계 통합, 진단 및 치료 위한 고성능 추론 모델 구축 ▲기호 기반 추론과 신경망 모델 결합한 융합형 추론 플랫폼 개발 ▲‘셀 온톨로지’ 기반 신약 개발 및 바이오마커 발굴 AI 기술 확보 등이다.

삼성서울병원, 네이버클라우드, ㈜히츠 등과는 ▲의료 지식체계를 활용한 임상 진단 AI ▲신약 개발을 위한 AI 기반 분자 타겟 탐색 ▲지식 확장이 가능한 AI 추론 플랫폼 상용화를 추진한다.

예종철 디지털바이오헬스AI연구센터장은 “AI 추론 모델 개발 경쟁이 본격화됐다"며 “과제가 종료될 7년 뒤에는 참여 신진연구자들이 연구 성과 면에서 세계 1위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기대했다.

AI 스타펠로우십은 박사후연구자 및 임용 7년 이내 교원이 프로젝트 리더(PL)로 참여해 주도적으로 연구를 이끄는 사업이다. 대학내 연구실과 수요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 운영된다.

0 Comments
제목
Category
접속자 통계
  • 현재 접속자 72 명
  • 오늘 방문자 560 명
  • 어제 방문자 842 명
  • 전체 방문자 292,279 명
  • 전체 게시물 6,557 개
  • 전체 댓글수 674 개
  • 전체 회원수 57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