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에 금융사 자본건전성 개선…변동성 확대 '복병'

News

원·달러 환율에 금융사 자본건전성 개선…변동성 확대 '복병'

[지디넷코리아]

한때 1500원을 넘어설 것으로 우려되던 원·달러 환율이 1400원선에서 등락을 반복하면서 국내 금융사들의 재무건전성 관리 부담이 완화됐다.

12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대비 6.50원(0.46%) 하락한 1393.50원으로 개장했다. 지난해 비상 계엄 여파 등이 맞물리면서 1400원 후반대까지 올라갔던 원·달러 환율이 많이 하락한 것이다.

외화 대출과 자산을 보유한 은행들도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면서 건전성 개선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은행마다 보유한 외화자산·부채의 규모가 다르지만 위험가중치에 따라 위험가중자산을 적립해야 한다.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가 상승할 경우 외화 부채가 많아지고 외화 부채의 충당금이 높아지는 격이며, 원화 가치가 하락하면 이 반대로 작용한다. 이 때문에 환율 10원당 위험 가중 자산이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이 업계의 전언이다.

(사진=이미지투데이)

금융지주사의 건전성 지표 중 하나인 보통주자본비율(CET1)도 환율 상승기에는 소폭 하락세였다. CET1 비율이 높을수록 금융기관은 경기 침체, 대손 비용 증가, 금융시장 변동성 등 외부 충격에 대비할 수 있는 재무적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해 3분기 KB금융의 CET1 비율은 13.84%였지만 4분기 13.53%로 하락했고 신한금융도 같은 기간 13.17%→13.06%로 소폭 감소했다.

그러나 복병은 환율 변동성이다. 등락폭이 커질 수록 예측한 위험 가중 자산이 급격히 줄거나 확대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5월 3일 1436.09원이었던 원·달러 환율은 4일 1399.9원으로 2.5% 하락하면서 변동성이 큰 흐름을 보였다. 이에 대부분 은행들은 충당금 적립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관리면에서 어렵다고 지적했다.

0 Comments
제목
Category
접속자 통계
  • 현재 접속자 57 명
  • 오늘 방문자 740 명
  • 어제 방문자 1,067 명
  • 전체 방문자 275,502 명
  • 전체 게시물 6,647 개
  • 전체 댓글수 674 개
  • 전체 회원수 57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