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장훈·이상민 알아본 최희암 전 감독의 인재 발굴 스토리


“단순한 소문이나 다른 사람의 피드백만 듣고 선수를 뽑았다가 완전히 실패했던 경험이 있다. 그 실패를 다시 반복하지 않기 위해 선수들을 직접 찾아 나섰다. 전국을 돌며 그 선수의 경기를 직접 보고, 주변 인물들을 인터뷰해 선발했다.”
농구감독 출신인 최희암 고려용접봉 부회장은 22일 리멤버앤컴퍼니가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진행한 '제3회 HR 리더스 인사이트' 컨퍼런스에서 이같이 말하며 채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최 부회장은 이 자리에서 ‘사람을 보는 안목’과 ‘조직을 키우는 리더십’에 대해 진솔한 경험담을 풀어냈다.
10년 넘게 연세대학교 농구 감독 자리를 지키며 전국대회 우승도 여러차례 이끌었던 그는 현재 고려용접봉의 부회장으로 재직 중이다. 스포츠와 산업 현장을 모두 경험한 리더로서 ‘구상·선발·육성’ 등 성과를 만드는 세 가지 원칙에 대해 설명했다.

최 부회장은 농구 감독 시절부터 팀을 만들기 위해 먼저 구상과 선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 부회장은 "농구 포지션부터 상황별 전략 변화, 라이벌 팀 분석까지 치밀하게 구상했다"며 "특히 농구가 센터의 싸움이듯, 조직에도 핵심 축이 있다. 이를 명확히 알고 그에 맞춰 나머지를 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선수 선발 과정에서 경험했던 실폐 사례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최 부회장은 “소문만 듣고 영입한 네 명이 있었는데, 농구선수로 졸업을 못 했다"며 "이후로는 직접 발품을 팔아 전국을 돌아다니며 선수를 영입하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 중·고등학교 경기장을 찾아 훈련 과정을 참관하고, 지도자·부모·지인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다각도로 선수를 검증했다는 설명이다.
문경은, 이상민, 서장훈, 우지원 등 국가대표 선수들도 이런 끈질긴 설득과 진심어린 관리 끝에 연세대 유니폼을 입었다. 정성스럽게 데려온 인재일수록, 그 가치를 알고 팀에 헌신한다는 믿음이 있었고, 그 믿음이 성과로 이어졌다는 설명이다.
코트 위에서의 인재 운영 철학은 산업 현장에도 적용됐다. 고려용접봉에 합류한 후 그는 영업 부서를 지역 중심에서 산업 중심 체제로 전환하고, 기술 문제를 빠르게 해결하기 위해 영업직도 기술 전문성을 갖추도록 구조를 바꿨다. 그 결과, 연구소 인력은 기술 지원에서 벗어나 본연의 연구에 집중할 수 있었고, 국산화가 어려웠던 용접재료 개발에도 성공했다.

최 부회장은 인재를 영입한 이후에도 끊임없이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신뢰는 기량 상승을 가져온다는 점을 강조하며 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최 부회장은 "성과에 따라 공정하고 명확한 보상과 책임이 필요하고, 가끔은 직접적인 질책이나 격려보다는 제3자를 통한 우회적 피드백이 효과를 볼 수도 있다"고도 조언했다.
또 최 부회장은 조직 운영의 핵심으로 ‘팀워크의 촉매자’ 역할을 꼽았다. 운동은 잘 못해도 성실한 선수가 팀 전체의 태도를 바꿀 수 있다고 조언했다. 그들이 주전들을 자극하고, 팀 분위기를 끌어올리는 기폭제가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마지막으로 최 부회장은 선수단을 훈련시킨 비법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는 "최배달의 ‘3·3·3 법칙이 있다. 300번 연습하면 흉내 정도는 낼 수 있고, 3천번 연습하면 실전에서 쓸 수 있는 기술이 되며, 3만번 연습하면 몸에 아예 익게 된다"면서 "성공은 결국 반복과 인내에서 온다. 단순한 기술자가 아니고, 성숙한 구성원으로 길러내는 것도 리더의 역할"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