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 클수록 학업 성적 더 높았다...수치보다 상대적 키 더 중요"

News

"키 클수록 학업 성적 더 높았다...수치보다 상대적 키 더 중요"

[지디넷코리아]

키가 클수록 학업 성적이 더 좋을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공개됐다고 IT매체 기가진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세인트앤셀름대 경제학과 스테파니 코피(Stephanie Coffey) 교수 연구팀은 뉴욕시 공립학교 학생 50만 명의 데이터를 분석해 키가 큰 학생들이 수학, 영어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받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해당 연구 결과는 학술지 ‘경제학과 인간 생물학(Economics and Human Biology)’에 발표됐다.

키가 클수록 학업 성적이 더 좋을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챗GPT 생성)

키가 큰 성인 남녀가 키가 작은 사람에 비해 수입이 높다는 것은 잘 알려진 현상이다. 예를 들어 미국과 영국에서 신장이 10cm 증가할 때마다 주당 수입이 4~12%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온 상태고 한국에서도 신장이 10cm 높아질 때마다 월 수입이 6~7% 올라가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키가 큰 사람이 성인이 되어 더 높은 임금을 받는 이유를 파악하기 위해 해당 연구를 진행했다.

이 현상의 배경으로 키 큰 사람이 어린 시절 학업적 이점을 누렸을 가능성이 있고 이것이 향후 노동 시장에서의 성공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주요 도시 학군의 대규모 데이터를 통해 이 관계를 보다 직접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남학생의 경우 같은 학교, 학년, 성별 내에서 키가 1 표준편차 증가할 때 수학 성적이 약 3%, 영어 점수는 약 3.9% 증가했으며 여학생도 각각 3.4%, 4% 상승해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또, 키가 가장 큰 상위 2.5%의 학생이 키가 가장 작은 하위 2.5% 학생보다 영어 성적이 약 18~19% 더 높았다.

이는 대규모 교육 평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될 수 있다고 외신들은 설명했다.

연구진은 "키가 큰 학생들이 시험을 치르는 3~8학년까지 모든 학년에서 수학과 영어에서 더 높은 성적을 받는다는 것”이라며, "이 효과의 크기는 평균적으로 작지만 키가 가장 큰 아이들과 가장 작은 아이들 간의 성취도에서는 상당한 격차를 보일 만큼 크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의 흥미로운 점은 절대적인 키 뿐만 아니라 주위의 다른 아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키가 큰 학생이 더 높은 성취도를 보였다는 것이다. 학년과 키가 같고 다른 학교에 다니고 있는 2명의 아이를 비교했을 때, 동급생보다 키가 큰 아이가 동급생보다 키가 작은 아이에 비해 영어 점수가 조금 높았다.

이는 “사회적 요인으로서 키가 크다는 이점이 성적에 약간의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또, 키가 큰 학생들이 더 건강할 수 있고 건강한 학생들이 학업 성취도가 더 좋을 수 있기 때문에 건강 상태가 키, 성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기 위해 비만 여부를 변수에 포함시켰다. 그 결과 오히려 신장과 학업 성적의 관계가 강화됐다. 또, 출석률을 살펴본 결과, 키가 작은 아이들이 키가 큰 아이들보다 결석률이 더 높지 않았다.

따라서 “건강 문제가 이번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하지만 조기 성장의 이점이나 큰 키로 인한 사회적 영향을 완전히 분리하기는 어렵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0 Comments
제목
Category
접속자 통계
  • 현재 접속자 54 명
  • 오늘 방문자 1,175 명
  • 어제 방문자 827 명
  • 전체 방문자 286,732 명
  • 전체 게시물 6,618 개
  • 전체 댓글수 674 개
  • 전체 회원수 57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