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 추진 무신사, 성장성·투명성 다 잡는다

News

IPO 추진 무신사, 성장성·투명성 다 잡는다

[지디넷코리아]

최근 여러 패션 플랫폼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무신사는 지난해 사업보고서를 통해 두자릿 매출 성장 기록을 공개해 주목 받았다. 나아가 기업공개(IPO)를 추진 중인 무신사는 기업의 투명성을 높여 더 건강한 성장을 이룬다는 계획이다.

무신사는 지난해 매출 1조2천427억원, 영업이익 1천28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25.1% 증가했으며, 무신사 본사 별도 기준의 매출도 24.6% 증가해 1조원을 넘겼다. 2018년 1천73억원 매출과 비교하면 5년만에 10배 가량 매출이 상승한 셈이다.

무신사는 우수한 실적과 더불어, K 브랜드 수출의 다음으로 거론되는 K패션의 글로벌 진출의 가시적 성과도 만들기 시작했다. 올해 1분기(1~3월) 글로벌 스토어의 일본 거래액을 분석한 결과, 전년 동기 대비 11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일본 누적 회원 수와 구매 고객 수도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늘어났다.

패션 버티컬 서비스 내에서 경쟁 관계였던 에이블리(매출 3천343억·영업적자 154억), 카카오스타일(매출 2천4억·22억 흑자전환), W컨셉(매출 1천169억·영업이익 19억) 등과 격차를 크게 벌렸다.

무신사 스토어 성수@대림창고 외관

무신사의 매출 성장의 배경에는 사업의 본원적 경쟁력 확보 이외에도, 컴플라이언스(자발적 법규 준수)와 관련한 선제적 투자가 꼽힌다.

실제로 무신사는 오래전부터 역량있는 컴플라이언스 분야의 외부 전문가를 영입해 경영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해 과감히 투자해왔다. 투자 관련 업계가 무신사의 기업공개를 긍정적으로 보는 이유는 회사 규모와 무관하게 일찍부터 글로벌 스탠다드 수준으로 투명성을 갖추기 위해 노력해왔다는 점이다.

오경석 팬코 대표

이 가운데 현재 무신사 기타비상무이사로 이사회에 이름을 올린 오경석 대표의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 오 대표는 외부에 많이 드러나지 않았으나, 지난 2016년부터 팬코를 이끌며 사업수완을 보여온 전문 경영인이다. 그는 공인회계사, 사법고시를 모두 패스해 삼일회계법인, 수원지방법원 판사, 대법원 재판연구관, 김앤장법률사무소 등을 거쳐 현재 팬코의 성장을 이끌고 있다. 팬코는 패션계의 TSMC로 불리울 정도로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무신사 이외에도 유니클로, 자라, 무인양품 등 국내외 기업들이 주요 고객들이다.

무신사는 "오경석 대표의 경영자로서의 역량과 컴플라이언스 관련 경험을 십분 활용해 회사의 투명성의 토대를 쌓은 이후, 현재 사외이사로 구성된 감사위원회 등 외부 전문가 집단을 구성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왼쪽부터 이행희, 이황, 임수현 사외이사

최근 무신사는 ▲이행희 전 한국코닝 대표이사 ▲이황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임수현 DS프라이빗에쿼티 대표 3인을 첫 사외이사로 영입했다. 이어 사외이사 중심의 감사위원회, 임원보상위원회, 사외이사 후보 추천위원회의 활동을 공식화했다.

최근 박준모 무신사 대표는 지난해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비상경영’을 선포했다.

무신사는 비상경영 선포와 관련해 "패션 플랫폼 영역의 압도적 지위에 안주하지 않고, 더 큰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글로벌 스탠다드 수준의 투명성을 기본으로 삼아 구성원들과 함께 경각심을 공유해 정면 돌파하기 위한 경영진의 의지"라는 입장이다.

0 Comments
제목
Category
접속자 통계
  • 현재 접속자 73 명
  • 오늘 방문자 822 명
  • 어제 방문자 1,174 명
  • 전체 방문자 264,443 명
  • 전체 게시물 6,160 개
  • 전체 댓글수 674 개
  • 전체 회원수 57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